반응형
겨울엔 날이 추운 것도 힘들지만, 너무 건조한 것도 힘들지요. 보일러 돌리고, 가습기 돌리다 보면 대체 온도와 습도를 얼마에 맞춰야 할지 도통 알기가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와 그에 따른 적정습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겨울철 적정 온도]
겨울철 적정 온도는 18~20도로 최대 22도를 넘어가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클수록 신체 혈관의 압축, 팽창이 반복되며 혈액 순환에 악영향을 끼치고, 추위에 대한 신체 적응력이 떨어져서 오히려 감기나 기타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조금 추운 온도인가 싶기도 한데, 따뜻한 겨울 잠옷과 양말을 입고, 웃풍을 막고, 가습기로 적절한 습도를 맞춰주면 크게 춥지않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
두꺼운 겨울 잠옷과 양말을 신고, 보일러는 바닥이 차갑지 않을 정도로만 한번씩 돌려주거나 20도로 맞추어 생활하고 있어요. 작은 창문에는 비닐을 쳐 웃풍을 막고, 큰 창문에는 두꺼운 커튼을 달고 자주 앉는 바닥에는 폭신한 매트를 깔았습니다.
수면 시엔 난방텐트를 쳐서 크게 춥지않게 자고 있습니다. 거기에 따뜻한 가열식 가습기를 이용해 온도도 데우면서 습도도 적절하게 맞춰주면 포근해집니다. 겨울에 습도가 높으면 포근하기 때문에 적정 습도를 맞춰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에 신생아가 있다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고 기초 체온이 조금 높은 편이므로 성인에게는 약간 서늘하게 느껴질 정도가 아기들에게는 덥지 않게 지낼 수 있는 정도이니, 아기가 있다고 온도를 높이기보다는 낮추는 편이 좋습니다.
[ 겨울철 적정온도에 따른 적정습도]
겨울철 실내 적정 습도는 40%~60%입니다. 실내 온도가 아주 낮을 경우 70%까지 올라가도 괜찮습니다. 보통 습도가 40% 이하로 피부나 목, 코가 건조하다 느껴지면, 바이러스 활동이 활발해지기도 하지만 코 점막이 말라 바이러스와 세균을 걸러내기 어려워 감기에 걸리기 쉽고, 안구건조증, 피부건조증 등 각종 건조증에 노출될 위험이 커집니다.